부킹 : 자유게시판 - 비행 일삼는 아들, 도저히 감당이 안돼요
부동산정보 자유게시판 갤러리
미풍양속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비행 일삼는 아들, 도저히 감당이 안돼요 | 정보

2017-06-26 17:58

페이지 정보

해리
조회4,144회   댓글2건

본문

내 인생 내가 알아서 한다”며 비행 일삼는 아들, 도저히 감당이 안돼요 


[오은영의 화해] 갑자기 시작된 아들의 일탈, 화를 못 참는 엄마

0000211873_001_20170626040253259.jpg?type=w540일러스트 김경진 기자 jinjin@hankookilbo.com

중3이 폭력에 보험사기까지 얽혀 

운 없었다고만 여기고 반성도 안해

또 무슨 사고를 칠까 너무 불안

‘내가 죽으면 정신차릴까’ 자살 시도

“이런다고 안 바뀌어” 아들 말에 절망


저에겐 올해 고3, 중3인 아들 둘이 있습니다. 둘째 아들의 사춘기를 감당할 수 없어 괴롭습니다. 아이는 학생으로서 해야 할 일을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교복도 안 입고 가방도 안 가져가고 수업 시간엔 엎드려 잡니다. 소위 질 나쁜 아이들과 어울려 타 학교 학생과 싸움을 일삼고 중2 때부터 술, 담배에도 손을 댔습니다. 밤 12시 넘어 들어오는 건 일상이고요. 올해엔 아이 때문에 처음으로 경찰서도 가봤네요. 같이 다니는 친구들 중 한 명이 지갑을 주워서 그 안의 주민등록증을 어딘가에 도용했다고 합니다. 현재 소송 중인 사건도 있어요. 친구 중 한 명이 아들에게 오토바이를 빌려줬는데, 알고 보니 보험사기단과 짜고 일부러 사고를 내서 합의금을 뜯어내려고 했던 거였어요. 다행히 블랙박스를 통해 정황이 밝혀졌고 사기단 중 한 명은 구속됐습니다. 

애가 직접 죄를 저지른 건 아니지만,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계속 사고를 치니 또 무슨 일이 벌어질까 너무나 불안합니다. 문제는 아이가 이걸 그냥 운이 없었다고 생각하지, 반성이나 경각심이 전혀 없다는 거예요. 가장 화가 나는 것도 그 부분입니다. 너무 당당해요. 자기 인생은 자기가 책임지겠다고 합니다. 최근엔 부모가 경찰서를 오가며 진정서 쓰는 모습을 보고 약간 누그러진 듯 했지만 대화의 끝은 늘 “내가 알아서 할게”예요. 그러면 저도 언성이 높아집니다. 

아들 말로 전 다혈질이에요. ‘너 제정신이야, 이게 네 나이에 할 짓이야’ 소리를 높이고, 화를 못 참으면 욕을 하고 매를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덩치가 커지니 이젠 체벌도 먹히질 않아요. 얼마 전 또 밤늦게 들어왔길래 머리를 한대 쥐어 박았더니 “한 번만 더 때리면 다신 엄마와 얘기하지 않겠다”고 하더군요. 때리는 손을 잡아서 제지하기도 해요. 

아들이 어릴 때 저는 해달라는 걸 다 해주는 엄마가 아니었어요. 큰 아들에게도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 휴대폰을 사주지 않아 반에서 우리 애만 휴대폰이 없었죠. 작은 애에게도 그렇게 했습니다. 큰 애는 별 불만이 없었는데 작은 애는 그런 것에 불만이 컸던 것 같아요. 다른 집은 다 해주는데, 우리 집은 사달라는 것도 안 사주고, 외식도 안 하고. 열등감 같은 걸 느끼지 않았나 해요. 신체적으로도 온 몸에 반점이 있어서 이것 때문에 상처가 컸어요. 지금도 여름에 반팔을 입지 않습니다. 돌이켜보면 본인이 원하는 만큼 살지 못해서 반항이 심해지지 않았나 해요. 지금도 돈에 무척 예민해요. 꿈이 돈 많이 벌어서 부자가 되는 거래요. 

0000211873_002_20170626040253274.jpg?type=w540
작년 아들의 일탈이 본격화할 때 제가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경륜 선수가 돈을 많이 번다는 말을 어디선가 듣고 사이클을 배우겠다고 해서 서울의 학교로 전학을 시켰어요. 생각한 것과 달랐는지 세달 만에 포기하길래 다시 원래 학교로 옮겼습니다. 복귀 후 한달 간 제 아들 때문에 학교폭력위원회가 여섯 번이나 열렸어요. 같은 반 아이를 때린 거예요. 왜 때렸냐는 말에 댄 이유가 “마음에 안 들어서, 기분이 나빠서”였어요. 저는 남에게 피해 끼쳐선 안 된다는 원칙을 지키며 산지라, 내 아이가 이유 없이 사람을 때렸다는 걸 용납할 수 없었습니다. ‘얘가 이런 애였나? 이렇게 악한 인간이었나?’ 

충격으로 정신 없는 가운데 추스를 틈도 없이 매일 학교에 불려가다 보니 감당이 안됐어요. 순간 ‘내가 죽으면 정신 차릴까’란 생각을 했고 남편에게 미안하다는 문자를 보낸 뒤 목을 매려고 시도했어요. 이상한 낌새를 챈 남편이 작은 아들에게 빨리 가보라고 했고 아이가 제 모습을 봤어요. 그런데 애가 그 자리에서 “엄마가 이런다고 내가 바뀔 거 같아?”라고 하더군요. 저는 정말 절박했는데… 심장이 찢어지는 것 같고 말할 수 없이 야속했습니다. 

남편은 평생 목소리 한 번 높여본 적 없는 사람입니다. 아이들이 어릴 땐 좋았어요. 저도 욕 듣고, 맞고 자란 기억이 있으니까요. 그런데 애들이 크니까 아빠가 너무 영향력이 없어요. 남편은 자기가 부드럽게 대하니까 그나마 애가 저 정도만 하는 거라고 말해요. 하지만 아들들 눈에 아빠는 그냥 화 못 내는 사람이에요. 

제가 바라는 건 모범생이나 우등생이 아니에요. 교복 입고, 수업 듣고, 남한테 피해 안 주고, 꼴등을 하더라도 평범하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남편은 기다리다 보면 아들이 언젠간 깨달을 거라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부모가 이렇게 기다리지만은 않잖아요. 

(박은영씨, 가명ㆍ44세ㆍ주부) 

0000211873_003_20170626040253281.jpg?type=w540
공격성 이면엔 불안 걱정이 보여

몸의 반점 등 열등감이 복합 작용

상처받지 않기 위해 힘 키우려 해

다혈질 엄마, 다 허용하는 아빠 아닌

믿을만한 어른 등 제3자 상담 필요


은영씨, 자녀를 키울 때 사랑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게 있을까요? 더 많이 사랑한다면 결국 모든 문제는 해결될까요? 은영씨 가정의 문제가 ‘사랑이 부족해서 생긴 걸까’라고 묻는다면 저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합니다. 아들에 대한 은영씨의 사랑은 진심입니다. 그러나 양육의 기본 전제는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해주고, 옳은 길이 무엇인지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입니다. 

자녀가 잘못된 길을 갈 때 부모는 할 말을 하되 대신 노여워하면 안돼요. 아무리 옳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마지막에 노여워하면 앞에 말한 것들의 가치가 사라집니다.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아요. 남는 건 공격 당했다는 느낌뿐입니다. 은영씨와 아들의 관계에서 부모란 단어를 지워보죠. 아이 입장에서 누가 자신을 공격했다고 느낀다면 그에 대한 반응은 어때야 할까요. 나를 공격한 사람보다 우위에 있어야만 안전하다고 느끼겠죠, 그 사람이 끼친 영향을 폄하해야 편안해지겠죠. 내가 그 사람보다 강해야겠죠. 결국 엄마와의 관계에서 이게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겁니다. 지금 아이에겐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한 기준이 없어요. 이걸 사회적 규범의 내재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은영씨는 부모로서 가르침을 했다고 여길지 모르겠지만 아이에겐 전달되지 않았어요. 그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엄마가 분노했기 때문입니다. 아들에게 이 관계는 이기느냐, 지느냐 혹은 꿇리느냐, 꿇림을 당하느냐의 문제예요. 

반대로 아빠는 한없이 부드럽습니다. 아이를 감정적으로 공격하지 않는 것은 장점이지만, 지침을 주지 않는 아빠일 가능성이 높아요. ‘그래, 그 나이엔 그럴 수도 있지, 내가 네 마음을 이해한다’ 여기서 끝나고 마는 거죠. 지나치게 허용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거예요. 최대한 아이를 안 건드리고, 아이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애를 쓰다 보면 과도하게 이해하는 쪽으로 가고 말아요. 아이가 아빠를 자신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라고 느낄 수는 있으나, 부모는 등대가 배의 갈 길을 알려주듯이 우리가 반드시 따라야 할 규범에 대해 가르쳐야 합니다. 아빠에게서조차 이 가르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결국 아이에게 심어진 건 아무것도 없는 거예요. 지침이 없으면 아이는 불안해집니다. 밤늦게 놀다가도 ‘아, 이젠 집에 들어가야지’하는 체념이 있어야 하는데(이걸 한계 설정이라고 합니다) 이게 없어요. 그런 아이는 반사회적 행동까지도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은 악의가 없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해요. 

지금 문제는 아들에게 어른이 없다는 겁니다. 부모가 보여주는 것이 정의나 옳음에 대한 기준이 아닌 노여움, 분노, 화에 그칠 때 청소년기의 아이들은 부모에게 충성심을 보이지 않아요. 이 경우 부모의 문제도 있지만 아이 자신도 여리고 상처를 잘 받는 성향일 가능성이 있어요. 겉으로는 자신감이 넘치고 공격적으로 보이지만 속으론 불안하고 걱정으로 가득 차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힘에 민감해요. 상처 받지 않기 위해 언제나 힘을 가져야 하는 거예요. 몸의 반점이나 어린 시절에 느꼈던 열등감 같은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다른 쪽으로 힘을 키우고 싶었을지 모릅니다. 그 마음이 이런 범죄 행위로까지 표현이 됐다고 봐요. 

0000211873_004_20170626040253288.jpg?type=w540
더 문제가 되는 건 부모가 더 이상 아들에게 의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겁니다. 예전에 저지른 잘못에 대해 부모가 이야기하려고 하면 ‘알았어요, 이제 안 그럴게요’란 말로 빠져나가기 바빠요. 과거를 돌아본다는 건 반성을 위한 것입니다. 인간이 여타의 동물과 다른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과거의 실수를 통해 학습을 한다는 거예요. 어떤 일을 겪고 나면 다음엔 훨씬 나아진 모습을 보이게 마련입니다. 지금 이 아이는 그게 잘 안 되고 있어요. 그건 아이의 특성인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경찰서에 가고 조사 받는 일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기가 다 알아서 한다고 해요. 그건 자립성이나 자주성, 자기주도성과 거리가 멀어요. 책임이 빠져 있는 지나친 독립성, 즉 ‘내가 알아서 하겠다’가 아니라 ‘내 마음대로 하겠다’예요. 책임질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어른의 조언을 받아들이는 걸 패배하는 것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건 매우 큰 문제입니다. 

주의해야 할 건, 이걸 사춘기 문제로 생각해선 안 된다는 겁니다. 대부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사람들은 사춘기를 그럭저럭 무난하게 지나가요. 사춘기라고 해서 모든 사람이 범죄 행위에 몸 담지는 않습니다. 감히 못해요. 이 시기에 두드러지게 표출되는 문제들은 이후 다른 문제의 시발일 가능성이 있어요. 그러므로 사춘기 문제로 싸잡는 건 위험한 일이에요. 은영씨 가정의 문제는 노여워하는 엄마, 지나치게 허용적인 아빠, 학습이 안 되는 아들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힌, 그 가정의 문제예요. 

이 가정에겐 도움이 필요합니다. 허심탄회한 대화가 우선돼야 하겠지만 이미 가족 간의 대화는 반복된 패턴 안으로 들어왔을 가능성이 커요. 제3자를 낀 중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너는 알아서 살겠다고 하지만 우리는 병이 날 정도로 네가 걱정된다. 우리가 정말 걱정 안 해도 되는 건지, 너도 다른 시각에서 생각할 기회를 가져보는 건 어떻겠니’ 같은 말로, 아이에게 어떤 편견도 없는 선생님과의 대화를 주선하는 것도 좋습니다. 

부모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가 됐으면 합니다. 엄마는 노여움을 조절하는 데 매진하시고, 아빠는 분명하고 확고한 자세로 자녀를 대하고 있는지 다시 점검하셔야 합니다. 

정리=황수현 기자 sooh@hankookilbo.com

* 오은영의 ‘화해’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오은영 박사가 지면을 통해 진행하는 정신 상담 코너입니다. 해결되지 않는 고통 때문에 힘겨운 분이라면 누구든 신청해 보세요. 사연은 한국일보 사이트(http://interview.hankookilbo.com/store/advice.zip)에서 상담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하신 후 이메일(advice@hankookilbo.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선정되신 분의 사연과 오은영 박사의 상담 내용은 한국일보 지면에 소개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469&aid=0000211873&sid1=001 


 

댓글

해리님의 댓글

해리

어렵지만 따뜻함과 냉정함  이것이 문제네요

그리고 포인트 : 마지막에 노하면, 효과가 없다

행복한아재님의 댓글

행복한아재

자식을 끝까지 믿고 기다려 주는것...
이게 가장 중요한것 같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 좋은글 사는 것이 왠지 허망하고 우울하다면 댓글[1] 인기글 해리 06-29 2751
76 유머 ppt 고수의 꿀팁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9 2497
75 유머 매너남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9 2375
74 정보 몸속 독소 빼주는 여름 과일 4가지 댓글[1] 인기글 해리 06-29 2776
73 정보 비행 일삼는 아들, 도저히 감당이 안돼요 댓글[2] 인기글 해리 06-26 4145
72 정보 세계가 인정한 한국인의 발명품 댓글[1]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6 3021
71 일상 딸바보 되는법 댓글[1]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6 2371
70 감동 아버지 댓글[1]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3 2516
69 좋은글 가치투자 고수의 주식 투자법 댓글[2]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3 3761
68 유머 농협에서 통장 만든 썰 댓글[2] 인기글 행복한아재 06-20 4154
67 감동 그를 용서하세요, 나를 위해서 댓글[1] 인기글 해리 06-20 2702
66 정보 세계는 '놀이'에 미래 걸었다…아이에게 '놀 권리'를 댓글[2] 인기글 해리 06-19 3326
65 유머 피곤한 월요일이네요 댓글[1] 인기글 행복한아재 06-19 2760
64 정보 강남 유치원생의 하루 댓글[1] 인기글 행복한아재 06-19 2780
63 감동 모소 대나무 댓글[2] 인기글 해리 06-18 3941
게시물 검색
게시판    부킹에 바란다     ⓒ 부킹